블로그 이미지
이곳에 있는 작은생각들의 가치관, 작은사진들의 시선, 다시듣는 음악의 느낌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입니다.
마뉘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시듣는 음악/Rock/Blues'에 해당되는 글 15

  1. 2008.07.25 Yngwei J.Malasteen's Rising Force 1
  2. 2008.07.18 Metallica - Kill'em All 1
  3. 2008.07.17 Helloween - Keeper Of The Seven Keys part II 1


Yngwei J.Malmsteen's Rising Force

바로크 음악을 좋아해서 그런지 Rock음악에서도 클래식 풍이 가미된 곡에 귀가 솔깃하곤 했다.

그 중 특히 내 귀를 자극하던 기타리스트가 있었는데 휀더기타를 들고 1980년대를 풍미하던잉베이 맘스틴이다.

1984년에 발표한 Yngwei Malmsteen's Rising Force... 참 기념비적인 앨범이다.

내 기억으로는 일대 혁명인듯싶었다.이후에 쏟아져나왔던 스피디한 테크닉을 강조하던 수많은 기타리스트들의 솔로앨범이 그 증거가 아닌가 싶다. 특히 미국의 GIT(Guitar Institute Technology...맞나? 가물가물하네..)는 엄청난 테크니션들을 배출했고 결과가 어쨌건 Rock의 중흥에 크나큰 역할을 했다.

바흐에서 영감을 받아 파가니니의 비루투오소적인 기교를 합쳤다.

평론가들은 그의 속주테크닉을 얘기했다. 너무 기교에치우쳐서 영혼이 없다고...마치 바이올리스트 하이페츠가 너무나도 완벽하게 바이올린을 연주해서 얼음과 같이 차갑게 느껴진다는 평론가들의 얘기와 같다.

블루스에 기반을 두면 영혼이 있고 리치블랙모어에 기반을 두면 영혼이 없는 모양이다.

음악을 듣고 내 영혼이 행복하고 풍성하게 느끼면 그게 영혼이 있는 음악아닌가...

사실 음악의 깃든 힘을 생각하면갈피를 못 잡는 논쟁이 될 수 있다.

연주가, 작곡가의 정신세계, 역사적 배경, 천재성, 가정환경, 교육환경, 듣는 사람의 다양한 정신세계와 환경 등 수많은 요소들이 얽혀있다.

좀 더 많이 음악을 공부한 이들이 평론하는 음악에 대한 잣대는 지식이 없는 이들의 귀를 넓게해주는 순기능도 있지만 그들의 귀를 획일화시키는 등 많은 역기능도 가지고 있다. 뭐 이런저런 생각들 참 많이 했던 기억이 난다.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태어난 잉베이는 어려서부터 피아노, 클래식기타, 기억이 잘 안나지만 관악기인가를 다뤘다고 한다. 그에게 클래식음악은 장르를 떠나서 자연스러운 음악이었을 것이다. 이후에 그가 접하게 된 음악들이 그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고 그로인해 어떤 음악이 만들어졌는가...그의 음악을접하는 사람들은 어떤 음악환경속에 노출되었던 사람들인가에 따라 평가의 가치관이 달라질 것 같다.역시나 클래식기타를 연주했던 랜디로즈의 음악에서 더 깊은 감동이 전해지는 것은나의 문화적인 음계와 랜디의 음계가 좀더 유사했던 것이지 잉베이의 음악이 비교하위에 있는것은 절대 아닌 것이다.

장마비가 내린다.

오랜만에 꺼내는 LP음반...종이냄새가 좋다. 이 종이냄새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응근한 설레임을 준다.

비오는...눈오는 날... 술과 담배맛 그리고 그향이 좋듯이 오래묵은 좋이 냄새도 좋다.

빠른핑거링과 부드러운듯 날카로운기타톤.

옛음악의 꾸밈음을 트레몰로암으로 처리한 독특함.

LP에서 떨려나오는 소리와 빗소리가 차분한 감흥을 준다.

Steeler와 Alcatrazz에서 이어져오는 날카롭고 거칠음이 바하와 알비노니의 바로크와 만나 신선한 충격을 전해준다.

(청계천을 돌며 해적판으로 구한 스틸러와 알카트라즈도 잊지말고 다음에 꼭 들어봐야겠다)

지금 들어보니 몇몇 곡에서의 기타톤은 고음악에서 들을 수 있는 건반악기와 많이 유사한 것 같은 느낌이다.

숨쉴 기회를 주지않는 하나하나의 곡들을 듣고있으면 금방 LP한면이 다 돌아간다. 나도 한숨 돌린다

.

이 앨범이 얼마나 심혈을 기울인 명반인가는 뒤로 나오는앨범들을 들어보면 알 수 있을것이다. 후속앨범이 나쁘다는 것이 아니고 그만큼 이 앨범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기회되면 하나하나 또 들어봐야 겠다. 물론 앨범마다의 명곡들이 들었으니...

언제던가 그가항상 갈망하던 기타 협주곡 공연영상을 본 적이 있었다. 음...이것도 저것도...

80년대 기타리스트 지망생들의 목표가 됐었던 잉베이 맘스틴.

하지만 그를 따르는 기타리스트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는 퇴색되고 잊혀져 가는것 같았다.

음악의 영혼에서 파생되는 주류와 비주류, 문명과 문화, 예술과 기술,,... 답안나오는 생각들을 또 하게된다.

'다시듣는 음악 > Rock/Bl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pellitteri - Impellitteri  (3) 2009.01.16
Tony MaCalpine - Edge Of Insanity  (2) 2008.11.25
Marty Friedman - Dragon`s Kiss  (1) 2008.09.19
Metallica - Kill'em All  (1) 2008.07.18
Helloween - Keeper Of The Seven Keys part II  (1) 2008.07.17

Metallica - Kill'em All

2008. 7. 18. 19:18 | Posted by 마뉘



Metallica - Kill'em All

헬로윈의 충격에서 벗어나기전에 형을 통해서 메탈리카를 접할 기회가 생겼다.

당시 메탈리카, 헬로윈을 스래쉬 스피드메탈의 양대산맥이라는 문구를 여기저기서 볼 기회가 많아서 궁금하던 참이었다. 특히 이런 비주류의 메탈음악은 좀처럼 들을수 있는 기회가 없어서 더욱 그랬다.

앨범을 구입하지 않고 들을 수 있는 방법은기껏해야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곡을 녹음하는게 전부였다. 그러고보니 신청곡을 틀면서 곡을 소개하는 일부 몰지각한 인기 DJ들 땜에제대로 곡의 처음부터 녹음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기억이난다.

엄청난 스피드에 놀랐고 야수같은 보컬에 또 한번 놀랐다.

물론 앨범자켓과 앨범 타이틀은식겁 그 자체였다.

내 귀가 이들의 음악에 순응하기까지 시간이 좀 걸렸지만 그 스피드는 듣자마자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지금들어보면 '아 젊구나...' 하고 웃음이 나오지만 어려서 들었을 때는 상당히 무거웠다. 제목들도 ...Motorbreath...Jump In The Fire...Pulling Teeth...Whiplash...Seek & Destroy...무거웠다...

거침없는 야생의 느낌은 데이브 머스테인 풍과 제임스 헤트필드 풍의기타리프에서 절묘하게 합쳐져서그런것인가... Metallica의 2집 Lide The Lighting과 Megadeth의 2집 Peace Sells...But Who's Buying? 의 거친 특색들을 합쳐놓은듯한...

변하지 않는 메탈리카의 매력은 이 앨범의 기타솔로에서부터 발견된다.


Helloween - Keeper Of The Seven Keys part II

친구가 카셋트 테잎을 하나 빌려줬다. 작은 커버에는 난생 처음보는 독특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눈이 조금은 부데꼈다.

테잎을 꺼내서 조심 스럽게 들어봤다.처음 들어보는 날카로은 음향과 보컬이 거침없이 흘러나왔다.

귀가 많이 부데꼈다.

태어나서 처음 접하게 된 문화적 충격이었고 다 듣지도 않은체 친구에게 돌려줬다.

20년전 일이다.

당시 테잎을 빌려줬었던 친구는 Stryper, Dio, Helloween을 좋아했던 기억이 난다.

그 후 몇 달인가 지난 어느날 어디선가 익숙하고 빠져들듯한 음악을 듣게 됐고 그것이 예전에 들었던 헬로윈이란걸 알게 됐다.

LP를 구입하고 이들이 스피드 트래쉬메틀 음악을 하며 1988년 발매된 이 앨범은

미움, 두려움, 어리석음, 탐욕, 무지, 사랑, 용서의 일곱강을 여닫는 열쇠를 놓고 벌이는 신과 악마와의 싸움을 그리고 있는 서사시 중 2부에 속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1부보다 2부를 먼저 듣게 된 셈이다.

어려서인지 새로운 발견에 대한 기쁨보다는 무언가 만져서는 안되는 걸 몰래가지고 온 두려움과 신비로움, 아슬아슬한 가슴떨림이 있었다.

이들의 음악은 그후로 꽤 오랫동안 즐겨 들었다.

지금 들어봐도 어떤곡하나 빠질게 없다.

젊은 나이에 이런곡을 만들고 또연주하고...참 대단하다.

어쿠스틱 기타로 시작되는 미하일 바이카츠의 대곡 keeper Of The Seven Keys는 여전히 감동적이다.

.....

You're the keeper of the seven keys
You locked up the seven seas
And the seer of visions can now rest in peace
There ain't no more demons and no more disease
And mankind, live up, you're freee again
Yes the tyran is dead, he is gone, overthrown
You have given our souls back to light

평화시대의 도래

'다시듣는 음악 > Rock/Bl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pellitteri - Impellitteri  (3) 2009.01.16
Tony MaCalpine - Edge Of Insanity  (2) 2008.11.25
Marty Friedman - Dragon`s Kiss  (1) 2008.09.19
Yngwei J.Malasteen's Rising Force  (1) 2008.07.25
Metallica - Kill'em All  (1) 2008.07.18
이전 1 2 3 4 다음